카테고리 없음

[네트워크] TCP/IP 4계층 모델

Everyday Growing Engineer 2022. 11. 20. 12:01

TCP/IP란?

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데 쓰이는 통신규약의 모음이다.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 중 TCP와 IP가 가장 많이 쓰인다.

IP(인터넷 프로토콜)와 TCP(전송 조절 프로토콜)를 조합해서 인터넷 통신하는 것을 TCP/IP 라고 부르는 것입니다.

TCP/IP는 패킷 통신 방식의 인터넷 프로토콜인 IP와 전송 조절 프로토콜인 TCP로 이루어져 있다. 

 

계층 구조

TCP/IP 계층은 4개의 계층을 가지고 있으며 OSI 7계층과 많이 비교한다. (어플리케이션, 전송, 인터넷,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)

 

애플리케이션 계층

  •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FTP, HTTP, SSH, SMTP, DNS 등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이며, 웹 서비스, 이메일 등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층이다. 
  •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, 사용자-소프트웨어 간 소통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.
  • 응용프로그램(application)들이 데이터를 교환하기 위해 사용되는 프로토콜

FTP : 장치와 장치 간의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

SSH : 보안이 되지 않는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암호화 네트워크 프로토콜

HTTP : World Wide Web을 위한 데이터 통신의 기초이자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 데 쓰는 프로토콜입니다

SMTP : 전자 메일 전송을 위한 인터넷 표준 통신 프로토콜

DNS : 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해주는 서버

 

DNS란??? 나중에 더 추가하기

 

전송 계층 :

  • 전송 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애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인터넷 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전달될 때의 중계 역할을 합니다.
  • 통신 노드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계층입니다.
  • 대표적으로 TCP/UDP 등이 있다.

TCP는

  • 패킷 사이의 순서를 보장.
  • 수신 여부 확인 가능.
  • 가성회선 패킷 교환 방식 사용

UDP는

  • 순서를 보장하지 않음
  • 수신 여부를 확인 하지 않음
  •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 사용

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

  • (연결 지향형)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은 각 패킷에서 가상회선 식별자가 포함되며, 모든 패킷을 전송하면 가상회선이 해제되고 패킷들은 전송된 '순서대로' 도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. 

데이터그램 패킷 교환방식

  • 데이터 그램 패킷 교환 방식은 패킷이 독립적으로 이동하며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가는것으로, 하나의 메시지에서 분할된 여러 패킷은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될 수 있으며 도착한 순서가 다를 수 있는 방식을 말합니다.

인터넷 계층

  • IP 주소를 설정하여 데이터가 송신지에서 최종 수신지까지 정확하게 전송되도록 경로를 설정하는 계층
  • IP, ARP, ICMP 등이 있으며 패킷을 수신해야 할 상대의 주소로 지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. 

네트워크 접근 계층(링크 계층)

  •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뒤,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를 사용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입니다.
  • 프로토콜로는 Ethernet, Wi-Fi, PPP, Token Ring 과 같은 프로토콜이 사용됩니다